본문 바로가기

DevOps & SRE 엔지니어 부트캠프/프로젝트 진행

(4)
[프로젝트] Ceph Storage 트러블 슈팅 Ceph Operator Error만약 이처럼 operator 파드에 CrashLoopBackoff가 발생하고, kubectl logs [파드이름]으로 로그를 살펴봤을 때, Get "https://10.96.0.1:443/api/v1/namespaces/rook-ceph/configmaps/rook-ceph-csi-detect-version": dial tcp 10.96.0.1:443: i/o timeout 같이 10.96.01에 접근하지 못한다는 메세지가 있으면, 이는 파드와 API Server간에 통신이 되지 않는 상태이다. 즉, 컨트롤 플레인과 워커노드가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agrant로 가상머신을 만들고 kubespay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해보니 ..
[프로젝트] Ceph Stroage 스토리지에는 3가지 종류가 있다.블록 스토리지: 파드 하나가 사용할 블록 스토리지를 생성(RWO)파일 스토리지: 여러 파드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 생성(RWX)객체 스토리지: S3 엔드포인트 또는 쿠버네티스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객체를 노출Ceph storage는 분산형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블록스토리지, 객체스토리지, 파일 스토리지의 기능을 모두 제공한다. Rook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에서 스토리지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 솔루션인데, Rook ceph를 사용하면 Ceph 스토리지를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에서 손쉽게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다.Rook ceph는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을 Self-managing, Self-scaling, Self-healing storage ..
[프로젝트] kubeadam을 이용한 쿠버네티스 설치 쿠버네티스 설치진행 순서도커 설치(컨테이너 런타임)k8s 설치k8s 클러스터 구성컨트롤 노드 세팅워커 노드 세팅최종 확인1. 도커 설치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들을 통합 관리하는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이기 때문에 실행, 관리 등의 역활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런타임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쿠버네티스 설치에 앞서 도커를 설치하는 이유도, 도커의 컨테이너 런타임 기능인 Containerd를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최근에는 방향이 약간 달라졌는데, 쿠버네티스에서 무거운 도커를 사용하기 보다 containerd만 따로 사용한다거나 Cri-O와 같은 경량 컨테이너 런타임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쿠버네티스 1.20부터 도커는 더이상 기본 런타임으로 쿠버네티스에 포함되지 않으며, containerd와 같..
[프로젝트] 가상머신 만들기 가상머신 생성가상머신 스펙Oracle VM VirtualBox CPU : 2Memory : Master Node - 4096 MiB / Worker Node - 2048 MiBOS : Ubuntu 22.04 추후 ARM 서버의 VMware EXSi를 사용할 예정이지만, 그 전에 테스트용으로 오라클 VM에 k8s를 설치하였다.가상머신 네트워크네트워크 대역192.168.56.0/24NAT Network + Host-Only Network마스터 노드192.168.56.11워커 노드192.168.56.21192.168.56.22192.168.56.23Ceph Storage Cluster를 형성하기 위해선 워커노드가 최소 3개는 필요하다.진행과정가상머신 설정우분투 공식 홈페이지에서 Ubuntu 22.04 L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