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ph Operator Error


- 만약 이처럼 operator 파드에 CrashLoopBackoff가 발생하고, kubectl logs [파드이름]으로 로그를 살펴봤을 때, Get "https://10.96.0.1:443/api/v1/namespaces/rook-ceph/configmaps/rook-ceph-csi-detect-version": dial tcp 10.96.0.1:443: i/o timeout 같이 10.96.01에 접근하지 못한다는 메세지가 있으면, 이는 파드와 API Server간에 통신이 되지 않는 상태이다.
- 즉, 컨트롤 플레인과 워커노드가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agrant로 가상머신을 만들고 kubespay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해보니 정상적으로 Ceph cluster가 만들어졌다. 또, 다른 팀원이 VMware workstation pro에서 브릿지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만들었을 때도 잘 형성되었다.
- 알고보니, 현재 가상머신의 네트워크가 NAT여서 노드끼리 통신이 안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였다. 노드끼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NAT Network로 변경해서 다시 생성하자 정상적으로 만들어졌다.

'DevOps & SRE 엔지니어 부트캠프 > 프로젝트 진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Ceph Stroage (0) | 2024.10.21 |
---|---|
[프로젝트] kubeadam을 이용한 쿠버네티스 설치 (2) | 2024.10.16 |
[프로젝트] 가상머신 만들기 (3) | 2024.10.15 |